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48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48 이동 후 기울기의 최대/최소 (공통접선)

[문제 648]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연속적인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문제에서, 최단 거리가 될 때의 두 점의 좌표를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1단계] 점 A를 x축과 y=x에 대해 각각 대칭이동한 점 A₁, A₂를 구합니다.
2. [2단계] 최단 거리는 선분 A₁A₂의 길이입니다.
3. [3단계] 최단 경로가 되는 점 C와 B는, 직선 A₁A₂와 x축, 그리고 직선 y=x의 교점입니다. 직선 A₁A₂의 방정식을 구해 각 교점의 좌표를 찾습니다.

주의할 점:
최단 거리를 만드는 점들은 대칭점을 이은 직선과 원래 경로가 지나던 직선(또는 축)의 교점이라는 사실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동 후 기울기의 최대/최소 (공통접선)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49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49 대칭이동 최단거리와 경로 위 점 좌표 구하기

[문제 649]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를 찾고, 경로 위의 점 좌표를 구하는 종합 서술형 문제입니다.

접근법:
1. [1, 2단계] 점 A를 Q가 움직이는 y축에 대해 대칭이동, 점 B를 P가 움직이는 직선 x-y+2=0에 대해 대칭이동하여 A’, B’을 구합니다.
2. [3단계] 최솟값은 두 대칭점 A’과 B’ 사이의 직선 거리입니다.
3. [4단계] 최단 경로가 되는 점 Q는 직선 A’B’과 y축의 교점, 점 P는 직선 A’B’과 직선 x-y+2=0의 교점입니다. 직선 A’B’의 방정식을 구해 각 교점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각 점을 어떤 축/직선에 대해 대칭해야 하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산량이 많은 문제입니다.

대칭이동 최단거리와 경로 위 점 좌표 구하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50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50 복합 이동 후 두 도형 위 점 사이 거리의 최댓값

[문제 650]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f(x,y)=0으로 표현된 도형의 복합적인 이동 후, 두 도형 위의 점 사이 거리의 최댓값을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1단계] f(-y-3, x-1)=0이 어떤 이동인지 분석합니다. (y=x 대칭 → 원점 대칭 → 평행이동 등)
2. [2단계] 원래 도형(정사각형)의 꼭짓점들을 1단계의 규칙에 따라 이동시켜 새로운 도형의 꼭짓점 좌표를 구합니다.
3. [3단계] 두 도형(두 정사각형) 위의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두 도형의 모든 꼭짓점들 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와 같습니다. 모든 경우를 비교하여 최댓값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도형 사이 거리의 최댓값은 일반적으로 한 도형의 꼭짓점에서 다른 도형의 꼭짓점까지의 거리 중에서 가장 긴 것을 찾으면 됩니다.

복합 이동 후 두 도형 위 점 사이 거리의 최댓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51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51 평행이동한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을 조건 찾기

[문제 651]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평행이동한 직선이 다른 두 직선과 삼각형을 이루지 않을 조건을 묻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먼저 주어진 직선을 x축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새로운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2.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는 (1) 두 직선 이상이 평행하거나 (2)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입니다.
3. (경우 1: 평행) 이동한 직선이 나머지 두 직선과 각각 평행할 때의 a값을 구합니다.
4. (경우 2: 한 점) 미지수가 없는 두 직선의 교점을 먼저 구하고, 그 교점을 이동한 직선이 지나도록 하는 a값을 구합니다.
5. 두 경우에서 나온 모든 a값의 합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 두 가지 핵심 조건(평행, 한 점에서 만남)을 모두 빠짐없이 고려해야 합니다.

평행이동한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을 조건 찾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36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36 선대칭(종이접기)을 이용한 점의 좌표

[문제 636]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직선 y=x를 이용한 연속적인 대칭이동과 거리의 최솟값을 묻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AP+PB+BQ+QC의 경로를 직선으로 펴기 위해 대칭이동을 활용합니다.
2. 점 A(0,1)을 P가 움직이는 y=x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A'(1,0)을 구합니다.
3. 점 C(0,4)를 Q가 움직이는 y=x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C'(4,0)을 구하려고 할 수 있으나, B도 고정점이므로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4. (해설 접근) A→A'(y=x 대칭), C→C'(y=x 대칭)을 하면, 최단거리는 A’B + BC’이 됩니다. 점 P,Q가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A를 대칭한 A’과 B, B와 C’을 잇는 두 직선 경로의 합이 됩니다. 이 경로가 최소가 되는 P, Q를 찾습니다.

주의할 점:
고정점이 3개, 움직이는 점이 2개인 복잡한 상황입니다. 각 선분 쌍에 대해 어떤 점을 대칭이동해야 경로가 펴지는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선대칭(종이접기)을 이용한 점의 좌표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37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37 이동 후 삼각형 넓이 최대와 원래 점

[문제 637]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좌표 설정을 통해 실생활 최단 거리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접근법:
1. 시냇가를 x축으로 설정하고, 한 지점 P를 원점으로 둡니다. 그러면 A(0,40), Q(90,0), B(90,80)으로 좌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소가 시냇가의 한 지점 R을 거쳐 B로 가는 경로(AR+RB)의 최단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3. 이는 한 점(A)을 대칭축(x축)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A’을 구한 뒤, A’과 B를 잇는 직선 거리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4. 점 A'(0,-40)과 B(90,8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면 최단 거리가 나옵니다.

주의할 점:
실생활 문제를 적절한 좌표평면으로 옮겨오는 모델링 과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것을 축으로 설정할지, 어떤 점을 원점으로 할지에 따라 계산의 편의성이 달라집니다.

이동 후 삼각형 넓이 최대와 원래 점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21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21 최단 경로 직선의 대칭이동

[문제 621]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두 원이 한 직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일 때, 그 대칭축 직선의 방정식을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두 원이 한 직선에 대해 대칭이므로, 두 원의 반지름은 같아야 합니다. (문제에서 반지름이 같음을 확인)
2. 대칭축인 직선은,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입니다.
3. 두 원의 중심 좌표를 각각 구합니다.
4. 619번 문제와 동일하게, 두 중심을 잇는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5. 구한 방정식을 문제의 형태와 비교하여 a,b 값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두 도형이 직선 대칭이라는 것은, 그 직선이 두 도형의 ‘대응점(원의 경우 중심)’을 잇는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이라는 기하학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단 경로 직선의 대칭이동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38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38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문제 638]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x축과 y축을 모두 거치는 경로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626번과 동일한 원리입니다.

접근법:
1. 주어진 상황을 좌표평면 위에 설정합니다.
2. 시작점 S를 x축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S’을 구합니다.
3. 시작점 S를 y축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S”을 구합니다.
4. SA+AB+BS의 최솟값은 대칭점 S’과 S” 사이의 거리가 아닌, A’SB’ 와 같이 각 경로에 맞는 대칭점을 찾아야 합니다. (이 문제는 A, B가 고정점이 아니므로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5. (해설 접근) 점 A를 x축 대칭, 점 S를 y축 대칭하여 세 점이 일직선이 되는 경우를 찾습니다.

주의할 점:
움직이는 점과 고정된 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구분하고, 경로에 맞게 적절한 대칭이동을 적용해야 합니다.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22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22 두 개의 다른 직선을 거치는 최단 거리

[문제 622]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한 직선을 다른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방법 1: 자취 이용)** 대칭이동시킬 직선 위의 임의의 점 P(a,b)를 대칭축 직선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을 Q(x,y)라 합니다. 중점 조건과 수직 조건을 이용해 a,b를 x,y로 표현하고, 이를 원래 직선에 대입하여 자취를 구합니다.
2. **(방법 2: 교점과 한 점 이용)** 원래 직선과 대칭축의 교점은 이동 후의 직선도 지납니다. 원래 직선 위의 다른 한 점을 잡아 대칭이동시킨 점을 구합니다. 이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직선의 직선 대칭은 계산이 복잡하므로, 교점을 먼저 찾고 다른 한 점만 대칭이동시켜 두 점을 잇는 방법(방법 2)이 일반적으로 더 효율적입니다.

두 개의 다른 직선을 거치는 최단 거리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39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39 연속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문제 639]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정사각형 내부에서 연속적인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문제입니다.

접근법:
1. 경로가 거쳐가는 변(BC, CD)에 대해 시작점(F)과 끝점(E)을 대칭이동합니다.
2. 점 F를 변 BC(x축)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F’을 구합니다.
3. 점 E를 변 CD(y축)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 E’을 구합니다.
4. FP+PQ+QE의 최솟값은 대칭된 두 점 F’과 E’ 사이의 직선 거리와 같습니다.
5. 정사각형의 성질과 내분점, 중점의 정의를 이용해 E와 F의 좌표를 먼저 구한 뒤, 대칭점의 좌표를 찾아 거리를 계산합니다.

주의할 점:
정사각형을 좌표평면 위에 올려놓고 각 점의 좌표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연속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