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6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6 원소 개수 조건이 있는 특별한 규칙의 집합

[문제 756]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755번 문제와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지만, 원소의 개수에 대한 조건이 추가된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원소가 될 수 있는 자연수는 20의 양의 약수입니다. {1, 2, 4, 5, 10, 20}
2. 규칙에 따라 짝지어지는 원소 묶음을 찾습니다. {1,20}, {2,10}, {4,5}
3. (a₂) 원소의 개수가 2개인 집합 A는, 3개의 묶음 중 1개를 선택하는 경우와 같습니다. (₃C₁ = 3개)
4. (a₄) 원소의 개수가 4개인 집합 A는, 3개의 묶음 중 2개를 선택하는 경우와 같습니다. (₃C₂ = 3개)
5. a₂와 a₄의 값을 더합니다.

주의할 점:
원소의 개수에 대한 조건이 주어지면, 전체 묶음 중에서 몇 개의 묶음을 선택할 것인지 조합(Combination)의 개념으로 접근하면 편리합니다.

원소 개수 조건이 있는 특별한 규칙의 집합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5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5 원소 사이에 곱셈 규칙이 있는 집합의 개수

[문제 755]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754번 문제와 완전히 동일한 유형입니다. 규칙이 (x ∈ A 이면 16/x ∈ A)으로 바뀌었습니다.

접근법:
1. 원소가 될 수 있는 자연수 x는 16의 양의 약수여야 합니다. {1, 2, 4, 8, 16}
2. 규칙에 따라 짝지어지는 원소 묶음을 찾습니다.
– {1, 16}
– {2, 8}
– {4} (4가 들어가면 16/4=4 이므로 혼자 가능)
3. 이 3개의 묶음으로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2³)
4. 공집합이 아닌 집합을 묻고 있으므로 1개를 빼줍니다.

주의할 점:
짝지어지는 규칙이 덧셈이든 곱셈이든, ‘묶음’을 하나의 원소처럼 취급하여 부분집합의 개수를 세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원소 사이에 곱셈 규칙이 있는 집합의 개수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4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4 원소 사이에 특별한 규칙이 있는 집합의 개수

[문제 754]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753번 문제와 유사하게, 원소 사이에 특별한 규칙 (x ∈ A 이면 8-x ∈ A)을 만족하는 집합의 개수를 세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원소가 될 수 있는 자연수는 1 ≤ x ≤ 7 입니다.
2. 규칙에 따라 원소들은 {1,7}, {2,6}, {3,5} 와 같이 쌍으로 존재하거나, {4} 처럼 혼자 존재할 수 있습니다.
3. 이 규칙을 만족하는 집합 A는, 이 짝지어진 묶음들({1,7}, {2,6}, {3,5}, {4})을 원소로 하는 새로운 집합의 부분집합과 같습니다.
4. 묶음의 개수가 4개이므로, 이들로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⁴개 입니다.
5. 문제에서 공집합이 아닌 집합 A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공집합 1개를 제외한 2⁴-1 개가 답이 됩니다.

주의할 점:
개별 원소가 아닌 ‘원소 쌍’ 또는 ‘묶음’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부분집합의 개수를 세는 것이 이 유형의 핵심 아이디어입니다.

원소 사이에 특별한 규칙이 있는 집합의 개수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3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3 원소 사이에 특별한 규칙이 있는 집합 찾기

[문제 753]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진부분집합의 개수와, 원소들 사이에 특별한 규칙 (x ∈ B 이면 10-x ∈ B)이 있는 집합을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가) 조건: 집합 B의 진부분집합 개수가 7개이므로, 2ⁿ⁽ᴮ⁾ – 1 = 7 입니다. 따라서 집합 B의 원소의 개수는 **3개**입니다.
2. (나) 조건: 이 규칙은 원소들이 쌍으로 존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1이 있으면 9도 있어야 하고, 2가 있으면 8도 있어야 함. 단, 5는 10-5=5이므로 혼자 존재 가능)
3. 원소 개수가 3개이면서 이 규칙을 만족하려면, 반드시 **{5}**를 포함하고, **서로 짝이 되는 두 원소 {a, 10-a}**를 포함해야 합니다.
4. 따라서 집합 B는 {5, a, 10-a} 형태입니다. 모든 원소의 합은 항상 15가 됩니다.

주의할 점:
x와 10-x가 짝을 이룬다는 규칙을 파악하고, 원소의 개수 조건(홀수 개)을 만족하려면 자기 자신과 짝이 되는 원소(5)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을 추론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원소 사이에 특별한 규칙이 있는 집합 찾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2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2 원소 개수와 약수 포함 조건의 부분집합 찾기

[문제 752]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원소의 개수특정 원소의 포함 조건이 결합된 부분집합의 개수를 찾는 고난도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전체 경우) 집합 A(원소 10개)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5개인 것의 개수를 구합니다. (₁₀C₅)
2. (여사건) ‘6의 약수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의 반대는 ‘(1) 6의 약수를 하나도 포함하지 않거나’, ‘(2) 6의 약수를 1개만 포함하는’ 경우입니다.
3. 6의 약수는 {1, 2, 3, 6} (4개), 그 외 원소는 6개입니다.
4. (여사건 1) 6의 약수 4개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원소 중에서 5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₆C₅)
5. (여사건 2) 6의 약수 4개 중 1개를 뽑고, 나머지 6개 원소 중에서 4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₄C₁ × ₆C₄)
6. (전체 경우) – (여사건 1 + 여사건 2)를 계산합니다.

주의할 점: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셀 때는 조합과 여사건의 원리를 적절히 활용해야 합니다.

원소 개수와 약수 포함 조건의 부분집합 찾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1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1 적어도 한 개의 짝수를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

[문제 751]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원소의 개수가 3개이고 적어도 한 개의 짝수를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여사건의 원리를 이용합니다.

접근법:
1. (전체 경우) 먼저 집합 A의 원소 8개 중에서 3개를 뽑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₈C₃)
2. (여사건) ‘적어도 한 개의 짝수’의 반대는 ‘모든 원소가 홀수’인 경우입니다.
3. 집합 A의 홀수 원소 {1, 3, 5, 7} 4개 중에서 3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₄C₃)
4. (전체 경우의 수) – (여사건의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답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원소의 개수가 특정 값으로 고정된 부분집합의 개수는 조합(Combination)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적어도’라는 표현은 여사건 풀이법을 사용하라는 강력한 힌트입니다.

적어도 한 개의 짝수를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50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50 교집합 원소 개수가 정해진 부분집합의 개수

[문제 750]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교집합의 원소 개수가 정해진 부분집합의 개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조합을 이용합니다.

접근법:
1. (가) 조건: n(A∩B)=2. 이는 집합 B가 A={1,2,3,4}의 원소 중 **정확히 2개**를 포함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2. (A에서 원소 선택) 먼저 A의 원소 4개 중에서 B에 포함될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₄C₂)
3. (나머지 원소 선택) B는 {1,2,3,4,5,6,7}의 부분집합입니다. 1,2,3,4를 제외한 나머지 {5,6,7}의 원소들은 B에 포함되어도 되고 안되어도 됩니다.
4. 따라서, {5,6,7}로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2³)
5. 최종적으로 (A에서 선택하는 경우의 수) × (나머지에서 선택하는 경우의 수) 를 계산합니다.

주의할 점:
집합 B를 구성할 때, A의 원소 중에서 어떤 것을 포함할지, 그리고 A에 없는 원소 중에서 어떤 것을 포함할지를 나누어 생각해야 합니다.

교집합 원소 개수가 정해진 부분집합의 개수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49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49 홀수, 짝수 개수가 정해진 부분집합의 개수

[문제 749]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홀수 3개짝수 2개 이상을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조합(Combination)을 이용합니다.

접근법:
1. (홀수 선택) 전체 집합의 홀수 {1,3,5,7,9} 5개 중에서 3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₅C₃)
2. (짝수 선택) 전체 집합의 짝수 {2,4,6,8} 4개 중에서 2개 이상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합니다. (₄C₂ + ₄C₃ + ₄C₄)
3. 두 경우의 수는 서로 독립적이므로, 두 결과를 **곱하여** 최종 답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각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를 뽑는 경우의 수를 각각 구한 뒤, 이를 곱의 법칙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홀수, 짝수 개수가 정해진 부분집합의 개수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48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48 홀수 원소가 한 개 이상인 부분집합의 개수

[문제 748]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홀수인 원소가 한 개 이상 속해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여사건을 이용합니다.

접근법:
1. 여사건은 ‘홀수 원소를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 즉 ‘모든 원소가 짝수’인 부분집합입니다.
2. (전체 경우) 집합 A의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3. (여사건의 경우) 집합 A의 짝수 원소 {2, 4}로만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4. (전체 개수) – (여사건의 개수)를 계산하여 답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적어도 하나’ 또는 ‘~이상’ 이라는 표현은 여사건을 활용하라는 강력한 힌트입니다.

홀수 원소가 한 개 이상인 부분집합의 개수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747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747 교집합과 포함 관계를 만족하는 집합의 개수

[문제 747]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두 집합의 교집합포함 관계를 만족하는 집합의 개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냅니다.
2. (X ⊂ A 조건) X는 A={2,3,5,7}의 부분집합입니다.
3. (X ∩ B = ∅ 조건) X는 B={1,2,3,6}의 원소를 가지면 안됩니다. A와 B의 공통 원소는 {2,3}이므로, X는 **2와 3을 포함해서는 안됩니다.**
4. 결국, 집합 X는 A의 부분집합 중에서 2와 3을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입니다.
5. 따라서 A의 원소 {5, 7}로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하면 됩니다.

주의할 점:
X∩B=∅ 라는 조건을 ‘X는 B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로 해석해야 합니다. 특히 A와 B에 공통으로 있는 원소들을 X가 가지면 안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교집합과 포함 관계를 만족하는 집합의 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