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92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92 좌표평면을 여섯 부분으로 나눌 조건

[문제 292]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마름모의 성질을 이용하여 대각선 방정식을 구하고, 원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서술형 문제입니다.

접근법:
1. [1단계] 대각선 AC의 길이가 10이라는 조건을 이용해 점 C의 좌표를 먼저 확정합니다.
2. [2단계] 직선 BD는 대각선 AC의 **수직이등분선**입니다. 선분 AC의 중점과 수직 기울기를 이용해 직선 BD(직선 l)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3. [3단계] 원점(0,0)과 2단계에서 구한 직선 l 사이의 거리를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해 구합니다.

주의할 점:
마름모의 대각선이 서로를 ‘수직이등분’한다는 핵심 성질을 정확히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좌표평면을 여섯 부분으로 나눌 조건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93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93 정점과 원점 거리 최댓값 구하기

[문제 293]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세 직선이 좌표평면을 여섯 개 부분으로 나눌 조건을 묻는 서술형 문제입니다. 175번 문제와 동일합니다.

접근법:
1. [1단계] 좌표평면이 6개 영역으로 나뉘는 경우는 (1)세 직선 중 두 직선만 평행하거나, (2)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임을 서술합니다.
2. [2단계] 미지수가 포함된 직선이 나머지 두 직선과 각각 평행할 때의 a값을 구합니다.
3. [3단계] 미지수가 없는 두 직선의 교점을 구하고, 이 교점을 미지수가 있는 직선이 지날 때의 a값을 구합니다.
4. [4단계] 모든 a값의 합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좌표평면을 6개로 나눈다’와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다(단, 셋 다 평행은 제외)’가 같은 조건임을 이해하고, 두 가지 경우를 모두 빠짐없이 찾아야 합니다.

정점과 원점 거리 최댓값 구하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94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94 실생활 문제의 좌표 설정과 수직이등분선

[문제 294]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정점을 지나는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는 문제입니다. 259번 문제와 동일합니다.

접근법:
1. [1단계] 원점과 주어진 직선 사이의 거리를 k에 대한 식으로 표현합니다.
2. [2단계] 1단계에서 구한 거리 식이 최대가 되려면 분모의 이차식이 최소가 되어야 합니다. 분모의 이차식을 완전제곱식으로 변형하여 최솟값을 찾고, 그때의 k값(a)과 거리의 최댓값(b)을 구합니다.
3. [3단계] a+b의 값을 계산합니다.

대체 접근법(기하학적):
주어진 직선의 정점을 찾고, 거리의 최댓값은 원점과 정점 사이의 거리임을 이용하면 더 간단하게 b를 구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서술형이므로, 대수적인 풀이(이차식의 최소를 이용)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생활 문제의 좌표 설정과 수직이등분선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95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95 공선 조건과 수직이등분선, 점과 직선 거리

[문제 295]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좌표 설정을 통해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수직 조건중점을 활용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1단계] 벽과 지면을 각각 y축, x축으로 설정하고, 유리판의 양 끝점 A, B의 좌표를 구합니다.
2. [2단계] 햇빛을 나타내는 직선은 유리판(선분 AB)의 중점 M을 지나고, 유리판과 수직입니다. 직선 AB의 기울기와 중점 M을 구해, 햇빛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3. [3단계] 햇빛이 지면과 만나는 점은 이 직선의 x절편입니다. x절편을 구해 최종 답을 계산합니다.

주의할 점:
실생활 문제를 좌표평면으로 옮겨오는 모델링 능력이 필요합니다. ‘유리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라는 표현을 ‘선분의 중점을 지나고 그 선분에 수직이다(수직이등분선)’로 해석해야 합니다.

공선 조건과 수직이등분선, 점과 직선 거리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64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64 곡선 위의 점과 직선 사이 최단 거리

[문제 264]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과, 다른 한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262번 원리의 일반화입니다.

접근법:
1. 두 직선의 교점 P의 좌표를 구합니다.
2. 문제는 ‘점 P를 지나는 직선들과 점 A(2,-2)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구하는 것으로 바뀝니다.
3. 262번 원리와 같이, 점 A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이 **선분 AP와 수직**일 때 최대가 되며, 그 최댓값은 **선분 AP의 길이**입니다.
4. 따라서 두 점 A와 P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그것이 바로 답이 됩니다.

주의할 점:
어떤 점(원점이든, 다른 점이든)과 정점을 지나는 직선군 사이의 거리 최댓값은, 항상 두 점 사이의 거리라는 일반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곡선 위의 점과 직선 사이 최단 거리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80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80 두 직선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문제 280]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삼각형의 내심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찾는 문제입니다. 내심은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입니다.

접근법:
1. 문제에서 요구하는 직선은 점 B와 내심을 지납니다. 이는 곧 각 B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을 구하라는 의미입니다.
2. 각 B의 이등분선은, 두 직선 BA와 BC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입니다.
3. 먼저 두 직선 BA와 BC의 방정식을 각각 구합니다.
4. 두 직선의 각의 이등분선 방정식을 구하고, 그 중 삼각형의 내부를 지나는(기울기 등을 고려) 적절한 방정식을 선택합니다.

주의할 점:
‘점 B와 내심을 지나는 직선’이 ‘각 B의 이등분선’과 같다는 사실을 파악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첫걸음입니다.

두 직선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65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65 곡선과 직선 사이 거리 최솟값

[문제 265]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곡선 위의 점직선 위의 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이 거리가 최소가 될 때는, 주어진 직선을 평행이동하여 곡선에 **처음으로 접하게** 될 때, 그 **접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입니다.
2. 주어진 직선과 평행한, 즉 기울기가 같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3. 기울기가 2인 접선이 이차함수 y=x²에 접할 조건을 **판별식 D=0**을 이용해 구합니다.
4. 접선의 방정식이 완성되면, 접점 A의 좌표도 구할 수 있습니다.
5. 최소 거리는 평행한 두 직선(원래 직선과 접선) 사이의 거리와 같습니다.

주의할 점:
문제는 점 A의 좌표만 묻고 있습니다. 접점을 찾기 위해, 판별식 D=0을 만족하는 이차방정식의 중근을 구하면 그것이 접점의 x좌표가 됩니다.

곡선과 직선 사이 거리 최솟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66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66 곡선과 직선 거리 최솟값의 최댓값

[문제 266]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곡선 위의 점직선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이 주어졌을 때 미지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265번과 같이, 곡선과 직선 사이의 최단 거리는 주어진 직선과 **평행한 접선**을 이용해 구합니다.
2. 곡선에 접하면서 기울기가 4인 접선의 방정식을 판별식 D=0을 이용해 구합니다.
3. 이제 문제는 ‘평행한 두 직선(원래 직선과 접선) 사이의 거리가 √17이다’라는 문제로 바뀝니다.
4. 두 평행한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해 k에 대한 방정식을 풀고, 조건에 맞는 답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접선과 원래 직선 중 어느 것이 위쪽에 있는지에 따라 k값이 두 개 나올 수 있습니다. 문제의 상황에 맞는 k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곡선과 직선 거리 최솟값의 최댓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67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67 세 꼭짓점 좌표로 삼각형 넓이 구하기

[문제 267]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곡선 위의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을 또 다른 함수의 식으로 보고, 그 함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고난도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먼저 거리의 최솟값 f(a)를 a에 대한 식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이는 주어진 직선과 평행한 접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2.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을 판별식 D=0을 이용해 구하면, 접선의 y절편이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납니다.
3. 평행한 두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면, 최솟값 f(a)가 a에 대한 이차식의 절댓값 형태로 표현됩니다.
4. 주어진 a의 범위(3

주의할 점:
최솟값을 구하는 과정 자체를 하나의 함수로 보고, 그 함수의 최대/최소를 다시 구하는 다단계 추론이 필요합니다. 각 단계별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세 꼭짓점 좌표로 삼각형 넓이 구하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268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268 평행선 위의 점으로 만든 삼각형 넓이

[문제 268]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세 꼭짓점의 좌표가 주어졌을 때,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방법 1: 밑변과 높이) 한 변(예: AB)을 밑변으로 정하고 길이를 구합니다. 이 변을 포함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뒤, 나머지 한 꼭짓점(C)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를 구해 높이를 찾습니다. 넓이 = 1/2 * 밑변 * 높이로 계산합니다.
2. (방법 2: 신발끈 공식) 세 꼭짓점의 좌표를 알고 있을 때, 신발끈 공식을 이용하면 빠르고 직접적으로 넓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서술형이 아니라면 신발끈 공식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공식을 정확히 암기하고, 좌표를 순서대로 적고 마지막에 처음 좌표를 한 번 더 쓰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평행선 위의 점으로 만든 삼각형 넓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