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1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1 두 원이 직선에 대해 대칭일 조건

[문제 611]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직선을 점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방법 1: 자취 이용) 원래 직선 위의 임의의 점 P(a,b)를 점 (2,1)에 대해 대칭이동한 점을 Q(x,y)라 합니다. 두 점 P, Q의 중점이 (2,1)임을 이용해 a,b를 x,y로 표현하고, 이를 원래 직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자취를 구합니다.
2. (방법 2: 평행선 이용) 점대칭한 직선은 원래 직선과 평행합니다. 따라서 기울기는 같습니다. 원래 직선 위의 한 점을 잡아 점 (2,1)에 대해 대칭이동시킨 점을 구하고, 이 점을 지나면서 원래 기울기를 갖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방법 2가 더 직관적이고 계산이 간단합니다. ‘점대칭 이동한 직선은 원래 직선과 평행하다’는 성질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원이 직선에 대해 대칭일 조건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2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2 직선을 다른 직선에 대해 대칭이동

[문제 612]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점대칭평행이동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직선의 방정식을 찾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점대칭) 먼저 직선 y=2x+3을 점 (1,2)에 대해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611번 참고)
2. (평행이동) 1단계에서 구한 직선을 x축으로 3만큼, y축으로 -2만큼 평행이동합니다. (x→x-3, y→y+2 대입)
3. 최종적으로 얻은 직선이 점 (a,-3)을 지나므로, 좌표를 대입하여 a값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이동의 순서(점대칭 후 평행이동)를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각 이동에 대한 규칙을 정확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선을 다른 직선에 대해 대칭이동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3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3 점의 직선 대칭과 삼각형 넓이

[문제 613]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원을 점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원의 점대칭 이동은 원의 중심을 점대칭 이동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지름은 변하지 않습니다.
2. 원래 원의 중심 (-1,3)을 점 (1,-2)에 대해 대칭이동한 새로운 중심의 좌표를 구합니다. (두 점의 중점이 (1,-2)임을 이용)
3. 이 새로운 중심이 직선 y=x+a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좌표를 대입하여 a값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원 전체의 방정식을 이동시키는 것은 복잡합니다. 항상 중심점의 이동으로 문제를 단순화하여 푸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점의 직선 대칭과 삼각형 넓이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4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4 대칭이동을 이용한 거리의 최솟값

[문제 614]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점대칭 이동한 직선이 원에 접할 조건을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먼저 직선 4x+3y-3=0을 점 (1,0)에 대해 대칭이동한 새로운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611번 참고)
2. 이 새로운 직선이 주어진 원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2,1)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 r과 같아야 합니다.
3.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해 등식을 세워 양수 r값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점대칭 이동과 원의 접선 조건(d=r)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을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대칭이동을 이용한 거리의 최솟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5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5 최단 거리가 되는 점의 좌표 찾기

[문제 615]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점대칭 이동한 직선과 원이 만나 생기는 현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직선 3x+4y+7=0을 점 (2,-3)에 대해 대칭이동한 새로운 직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2. 이제 문제는 ‘새로운 직선과 원 x²+y²=25가 만나 생기는 현의 길이’를 구하는 것으로 바뀝니다.
3. 원의 중심(0,0)과 새로운 직선 사이의 거리 d를 구합니다.
4. 원의 반지름 r은 5입니다.
5. 피타고라스 정리 (현/2)² + d² = r² 을 이용해 현의 길이를 구합니다.

주의할 점:
점대칭 이동, 현의 길이 구하기 등 여러 기본 개념이 순차적으로 사용되는 종합 문제입니다.

최단 거리가 되는 점의 좌표 찾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6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6 연속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문제 616]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두 포물선이 한 점에 대하여 대칭일 조건을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두 포물선이 한 점에 대해 대칭이려면, 두 포물선의 모양(이차항의 계수의 절댓값)이 같고, 볼록한 방향이 반대여야 합니다.
2. 가장 중요한 특징은, 대칭의 중심점은 바로 두 포물선의 꼭짓점의 중점이라는 것입니다.
3. 각 포물선을 표준형으로 변환하여 꼭짓점의 좌표를 구합니다.
4. 두 꼭짓점의 중점 좌표를 구하면, 그 점이 바로 대칭의 중심 (a,b)가 됩니다.

주의할 점:
‘점대칭’의 기하학적 중심이 ‘두 도형의 꼭짓점의 중점’과 일치한다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연속 대칭이동을 이용한 최단 거리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01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01 점대칭 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문제 601]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평행이동대칭이동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평행이동) 먼저 포물선 y=-x²+4x+k를 x축으로 1만큼, y축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식을 구합니다. (x 대신 x-1, y 대신 y+2 대입)
2. (x축 대칭) 1단계에서 얻은 포물선을 x축에 대해 대칭이동합니다. (y 대신 -y 대입)
3. 최종적으로 이동된 포물선의 방정식과 문제에서 주어진 y=-x²-6x+5가 서로 일치해야 합니다.
4. 두 방정식의 계수를 비교하여 상수항으로부터 미지수 k의 값을 찾습니다.

주의할 점:
도형의 이동 규칙(평행이동은 부호 반대, 대칭이동은 해당 문자 변환)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점대칭 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7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7 연속 대칭이동을 이용한 사각형 둘레 최솟값

[문제 617]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점대칭 이동한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이 원점 대칭일 조건을 이용하는 고난도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먼저 포물선 y=x²+kx를 점 (2,3)에 대해 대칭이동한 새로운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2. 이 새로운 포물선과 직선 y=2x-5를 연립하여 교점의 x좌표를 구하는 이차방정식을 세웁니다.
3. 두 교점이 원점에 대해 대칭이므로, 두 교점의 x좌표의 합은 0이 되어야 합니다.
4. 2단계에서 세운 이차방정식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해 ‘두 근의 합 = 0’ 이라는 등식을 세워 k값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두 교점이 원점 대칭이라는 조건을 ‘두 교점의 x좌표의 합이 0이다’로 변환하고, 이를 근과 계수의 관계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적인 풀이 과정입니다.

연속 대칭이동을 이용한 사각형 둘레 최솟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02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02 점대칭과 평행이동의 순차 적용

[문제 602]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대칭이동평행이동을 거친 포물선이 y축과 만나는 점(y절편)의 좌표를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원점 대칭) 포물선 y=x²-2x+a-8을 원점에 대해 대칭이동합니다. (x→-x, y→-y)
2. (x축 평행이동) 1단계에서 얻은 포물선을 x축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합니다. (x→x-3)
3. 최종적으로 이동된 포물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2라고 했습니다.
4. 최종 포물선의 방정식에 x=0을 대입한 값이 2가 되도록 하는 a값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y축과 만나는 점은 x좌표가 0인 점입니다. 대칭이동과 평행이동을 거친 최종 식에 x=0을 정확히 대입해야 합니다.

점대칭과 평행이동의 순차 적용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618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618 대칭이동과 원과 점 사이의 최단 거리

[문제 618]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점을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는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중점 조건수직 조건을 이용합니다.

접근법:
1. 대칭이동한 점을 B(a,b)로 둡니다.
2. (중점 조건) 두 점 A, B의 중점은 대칭축인 직선 위에 있어야 합니다. 중점의 좌표를 구해 직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a,b의 관계식을 하나 얻습니다.
3. (수직 조건) 두 점 A, B를 잇는 직선은 대칭축인 직선과 서로 수직이어야 합니다.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라는 조건을 이용해 두 번째 관계식을 얻습니다.
4. 두 관계식을 연립하여 a,b 값을 구합니다.

주의할 점:
직선 대칭 문제는 항상 ‘중점’과 ‘수직’이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를 이용해 연립방정식을 푼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대칭이동과 원과 점 사이의 최단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