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9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9 실생활 속 거리 최솟값 (속력)

[문제 29]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움직이는 두 물체 사이의 최단 거리를 묻는 실생활 활용 문제입니다. 시간에 따른 위치를 좌표로 설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접근법:
1. 교차로 O를 원점(0,0)으로 설정합니다.
2. [cite_start]출발 후 t시간이 지났을 때의 두 학생 A, B의 위치를 각각 t에 대한 좌표로 표현합니다. [cite: 1193]
3. 두 학생 사이의 거리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루트 안에 t에 대한 이차식이 들어있는 형태가 됩니다.
4. 루트 안의 **이차식이 최소일 때 거리도 최소**가 되므로, 이차함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로 귀결됩니다.

주의할 점:
속력과 시간을 이용해 t초 후의 위치를 정확히 좌표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동쪽은 +x, 서쪽은 -x, 북쪽은 +y, 남쪽은 -y 방향으로 설정하면 편리합니다.

실생활 속 거리 최솟값 (속력)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8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8 두 점과 직선 위 점 사이 거리 차 최댓값

[문제 28]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두 선분의 길이의 차(|PB-PA|)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합의 최솟값 문제와 원리를 비교하며 이해해야 합니다.

접근법:
1.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의해, 점 P가 어디에 있든 항상 **|PB-PA| ≤ AB** 가 성립합니다.
2. 등호는 세 점 P, A, B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성립합니다.
3. 따라서 길이의 차의 최댓값은 바로 **선분 AB의 길이**입니다.
4. 두 점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그것이 최댓값이 됩니다.

주의할 점:
거리의 ‘합’의 최솟값과 거리의 ‘차’의 최댓값은 모두 두 정점 사이의 거리가 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단, 점 P가 특정 직선(예: x축) 위에 있을 때, 합의 최솟값은 대칭이동을 이용해야 합니다.

두 점과 직선 위 점 사이 거리 차 최댓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7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7 네 점과 임의의 점 사이 거리 합 최솟값

[문제 27]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네 점까지의 거리의 합(PO+PA+PB+PC)의 최솟값을 묻는 응용 문제입니다.

접근법:
1. 거리의 합을 두 쌍으로 묶어서 생각합니다: (PA+PC) + (PO+PB).
2.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의해 PA+PC의 최솟값은 **선분 AC의 길이**이고, PO+PB의 최솟값은 **선분 OB의 길이**입니다.
3. 전체 합이 최소가 되는 경우는 점 P가 **두 대각선(AC와 OB)의 교점**에 위치할 때입니다.
4. 따라서 최솟값은 두 대각선의 길이의 합, 즉 AC + OB 입니다.

주의할 점:
점이 3개 이상일 때는 적절히 두 개씩 짝을 지어 각각의 최솟값 조건을 생각하고, 그 조건들이 동시에 만족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것이 일반적인 해결 전략입니다.

네 점과 임의의 점 사이 거리 합 최솟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6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6 세 점 사이 거리 합 최솟값

[문제 26]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25번 문제와 완전히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는 문제입니다. 점의 좌표만 바뀌었습니다.

접근법:
1. [cite_start]문제의 식은 원점 O(0,0)과 점 A(a,b) 사이의 거리, 그리고 점 A(a,b)와 점 B(2,-1) 사이의 거리의 합을 의미합니다. [cite: 1170-1174]
2. 이 거리의 합(OA+AB)이 최소가 되려면, 세 점 O, A, B가 **일직선 위에 있어야** 하며, 점 A는 선분 OB 위에 있어야 합니다.
3. 따라서 최솟값은 **선분 OB의 길이**와 같습니다. 원점 O와 점 B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됩니다.

주의할 점:
미지수 a, b가 포함되어 있어 복잡해 보이지만, 기하학적 의미를 파악하면 실제 계산은 매우 간단해지는 문제입니다. 식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 점 사이 거리 합 최솟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5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5 두 점과 임의의 점 사이 거리 합 최솟값

[문제 25]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두 정점과 임의의 한 점을 잇는 두 선분의 길이 합(AP+PB)의 최솟값을 묻는 가장 기본적인 유형입니다.

접근법:
1.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의해, 점 P가 어디에 있든 항상 **AP + PB ≥ AB** 가 성립합니다.
2. 등호는 점 P가 **선분 AB 위에 있을 때** 성립하므로, AP+PB의 최솟값은 바로 선분 AB의 길이 그 자체가 됩니다.
3. 따라서 두 점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그것이 바로 최솟값입니다.

주의할 점:
점이 특정 축이나 직선 위에 있다는 제한 조건이 없는 ‘임의의 점 P’일 경우, 최솟값은 항상 두 정점을 셔틀처럼 왕복하지 않고 직선으로 이은 거리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두 점과 임의의 점 사이 거리 합 최솟값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4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4 거리의 합 최솟값 (좌표 설정)

[문제 24]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루트가 포함된 복잡한 식의 최솟값을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의 합으로 해석하여 푸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식의 각 항을 두 점 사이의 거리로 해석합니다. [cite_start]첫 번째 항은 (x,0)과 (0,4) 사이의 거리, 두 번째 항은 (x,0)과 (3,-2) 사이의 거리로 볼 수 있습니다. [cite: 1137-1146]
2. 즉, 이 문제는 x축 위의 한 점(x,0)에서 두 정점(0,4), (3,-2)에 이르는 거리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3.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경우는 **세 점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이므로, 최솟값은 두 정점 (0,4)와 (3,-2) 사이의 거리와 같습니다.

주의할 점:
주어진 식을 그대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좌표평면 위의 선분의 길이로 기하학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거리의 합 최솟값 (좌표 설정)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3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3 직각삼각형과 파푸스의 중선정리

[문제 23]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22번 문제와 동일하게 직각삼각형의 외심의 성질을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외심 P가 변 BC 위에 있다’는 것은 삼각형 ABC가 **변 BC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임을 의미합니다.
2. 외심의 정의에 따라, 외심 P에서 세 꼭짓점 A, B, C까지의 거리는 모두 같습니다(PA=PB=PC).
3. 따라서 빗변 BC의 길이는 **선분 PA 길이의 2배**와 같습니다.
4.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AB² + AC² = BC² 이므로, 최종적으로 AB² + AC² = (2PA)² 이 성립합니다.

주의할 점:
외심의 성질을 이용해 변 BC의 길이를 PA의 길이로 치환하여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이 문제 풀이의 핵심 아이디어입니다.

직각삼각형과 파푸스의 중선정리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2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2 직각삼각형과 외심의 성질

[문제 22]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직각삼각형의 외심에 대한 성질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접근법:
1. 문제에서 ‘외심이 변 AB 위에 있다’는 결정적인 힌트를 주었습니다. 이는 삼각형 PAB가 변 AB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임을 의미합니다.
2.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주어진 외심 (8,6)은 선분 AB의 중점입니다.
3. 외심으로부터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는 모두 같으므로, 외심과 점 P 사이의 거리는 **외심과 원점 O 사이의 거리**와 같습니다.

주의할 점:
점 A, B, P의 좌표를 직접 구하려고 하면 문제가 매우 복잡해집니다. ‘외심이 빗변 위에 있다’는 기하학적 성질을 해석하여 풀이의 방향을 잡는 것이 핵심입니다.

직각삼각형과 외심의 성질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1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1 삼각형 외심의 좌표 구하기

[문제 21]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삼각형의 외심의 좌표를 찾는 문제입니다. 외심의 정의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접근법:
1. 방법 1 (정의 이용): 외심을 P(x,y)라 하면, 외심에서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는 모두 같습니다(PA=PB=PC). [cite_start]이 조건을 연립방정식(PA²=PB², PB²=PC²)으로 만들어 풀면 됩니다. [cite: 1073-1091]
2. 방법 2 (도형 성질 이용): 세 변의 길이를 구해 삼각형의 종류를 판별합니다. [cite_start]만약 직각삼각형이라면 외심은 빗변의 중점에 위치하므로, 중점 좌표를 구해 매우 간단하게 풀 수 있습니다. [cite: 1093-1103]

주의할 점:
항상 방법 2가 가능한지 먼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시간 단축에 매우 유리합니다. 세 변의 길이를 구하는 것은 어떤 방법으로든 필요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계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삼각형 외심의 좌표 구하기

마플시너지공통수학2풀이해설0020고퀄리티 풀이영상제공0020 직각이등변삼각형이 될 조건

[문제 20] 핵심 개념 및 풀이 전략

직각이등변삼각형이 될 조건을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직각’ 조건과 ‘이등변’ 조건을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접근법:
1. ‘각 B가 90도’라는 조건에서 피타고라스 정리, 즉 **CA² = AB² + BC²** 이 성립합니다.
2. ‘이등변’ 조건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 즉 **AB = BC** 가 성립합니다.
3. 이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미지수 a를 찾으면 됩니다. 보통 하나의 조건에서 나온 해 중에서 다른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을 선택하게 됩니다.

주의할 점:
두 조건 중 계산이 더 간단해 보이는 식을 먼저 푸는 것이 좋습니다. [cite_start]이 문제에서는 두 조건을 각각 풀어 공통된 해를 찾는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cite: 1061, 1067]

직각이등변삼각형이 될 조건